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
-시․도 및 학교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 표집평가로 전환-
-’18년부터「기초학력 진단-보정 시스템」적용 대상 확대-
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1월 30일(목)에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.
◦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수준의 학업성취 수준 파악 및 학교교육의 체계적 질 관리를 위해 매년 시행되며 이번 평
가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와 국정기획자문위원회의 제안을 반영하여 전수평가에서 표집평가로 전환한 것이다.
지난 6월 20일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 935,059명의 약 3%인 28,131명(중3 238교 13,311명, 고2
236교 14,820명)을 대상으로 국어, 수학, 영어 교과에 대해 평가를 시행하였다.
◦ 이에 따라, 올해부터 시․도별 평가 결과 산출 및 학교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정보 공시는 제외되며, 평가 결
과는 표본을 통하여 얻어진 모집단에 대한 추정치이므로, 표준오차를 함께 제시하였다.
중·고등학교 모두 국어의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감소, 수학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,
영어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
- 중학교 보통학력 이상 비율 : 국어 85.2%, 수학 68.4%, 영어 73.4%
-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비율 : 국어 2.5%, 수학 6.9%, 영어 3.1%
- 고등학교 보통학력 이상 비율 : 국어 76.2%, 수학 76.9%, 영어 82.5%
- 고등학교 기초학력 미달 비율 : 국어 4.7%, 수학 9.2%, 영어 3.8%
< 성취수준 비율(%) 추이 >
|
보통학력 이상 |
기초학력 미달 |
||||||||||
중3 |
고2 |
중3 |
고2 |
|||||||||
국어 |
수학 |
영어 |
국어 |
수학 |
영어 |
국어 |
수학 |
영어 |
국어 |
수학 |
영어 |
|
’15 |
82.6 |
66.2 |
70.4 |
81.2 |
80.3 |
83.9 |
2.6 |
4.6 |
3.4 |
2.6 |
5.5 |
4.4 |
’16 |
90.1 |
68.2 |
74.7 |
84.1 |
78.2 |
86 |
2 |
4.9 |
4 |
3.2 |
5.3 |
5.1 |
’17 |
85.2 |
68.4 |
73.4 |
76.2 |
76.9 |
82.5 |
2.5 |
6.9 |
3.1 |
4.7 |
9.2 |
3.8 |
(-0.41) |
(-0.71 |
(-0.74) |
(-0.88) |
(-0.9) |
(-0.76) |
(-0.14) |
(-0.27) |
(-0.17) |
(-0.32) |
(-0.51) |
(-0.27) |
※ ′17년 결과는 모집단에 대한 추정치이므로 ( )안에 표준오차를 제시함.(이하 내용은 같음)
중·고등학교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지속적으로 높았으며,
특히 국어와 영어에서 성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.
< 보통학력 이상 비율(%) 추이 >
구분 연도 | 중3 | 고2 | ||||||||||
국어 | 수학 | 영어 | 국어 | 수학 | 영어 | |||||||
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|
’15 | 76.2 | 89.5 | 64.7 | 67.8 | 65.3 | 76.0 | 74.2 | 88.6 | 79.2 | 81.3 | 79.3 | 88.8 |
’16 | 86.2 | 94.3 | 67.4 | 69.1 | 69.7 | 80.2 | 78.6 | 89.8 | 77.4 | 79.1 | 82.1 | 90.1 |
’17 | 80.2 (0.59) | 90.7 (0.48) | 67.4 (0.89) | 69.5 (0.87) | 68.9 (0.95) | 78.3 (0.94) | 69.5 (1.17) | 83.6 (0.87) | 75.9 (1.24) | 78.0 (1.14) | 78.7 (1.13) | 86.7 (0.79) |
< 기초학력 미달 비율(%) 추이 >
구분 연도 | 중3 | 고2 | ||||||||||
국어 | 수학 | 영어 | 국어 | 수학 | 영어 | |||||||
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남 | 여 | |
’15 | 4.1 | 1.0 | 5.7 | 3.3 | 4.9 | 1.7 | 4.0 | 1.1 | 6.7 | 4.3 | 6.4 | 2.4 |
’16 | 3.0 | 0.9 | 5.9 | 3.8 | 5.8 | 2.0 | 4.8 | 1.5 | 5.9 | 4.6 | 7.3 | 2.9 |
’17 | 3.8 (0.23) | 1.0 (0.13) | 8.0 (0.39) | 5.8 (0.36) | 4.2 (0.25) | 1.8 (0.19) | 6.7 (0.54) | 2.4 (0.24) | 10.8 (0.80) | 7.5 (0.48) | 5.2 (0.44) | 2.3 (0.21) |
(지역규모별) 중·고등학교 모두 대도시가 읍면지역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지속적으로 높았으며,
특히 중학교 수학과 영어에서 지역규모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.
< 보통학력 이상 비율(%) 추이 >
구분 연도 | 중3 | 고2 | ||||||||||
국어 | 수학 | 영어 | 국어 | 수학 | 영어 | |||||||
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|
’15 | 83.7 | 79.2 | 70.2 | 56.7 | 74.1 | 61.6 | 82.2 | 78.9 | 82.1 | 78.4 | 85.7 | 81.1 |
’16 | 90.9 | 87.9 | 72.6 | 58.0 | 78.2 | 67.0 | 85.1 | 81.6 | 80.5 | 76.3 | 87.7 | 83.1 |
’17 | 86.5 (0.64) | 81.9 (1.05) | 72.6 (1.09) | 58.6 (1.68) | 77.0 (1.04) | 65.0 (2.14) | 78.4 (1.30) | 70.2 (3.08) | 79.5 (1.28) | 71.7 (2.97) | 84.8 (1.12) | 76.6 (2.96) |
※ 대도시 : 인구 100만 초과 / 읍면지역 : 인구 5만 미만 지역
< 기초학력 미달 비율(%) 추이 >
구분 연도 | 중3 | 고2 | ||||||||||
국어 | 수학 | 영어 | 국어 | 수학 | 영어 | |||||||
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대도시 | 읍면 | |
’15 | 2.7 | 2.7 | 4.2 | 5.5 | 3.1 | 3.7 | 2.9 | 2.5 | 5.3 | 5.7 | 4.2 | 4.7 |
’16 | 2.0 | 2.3 | 4.2 | 6.3 | 3.6 | 4.7 | 3.5 | 3.2 | 4.7 | 5.8 | 4.7 | 5.7 |
’17 | 2.7 (0.26) | 3.1 (0.42) | 6.4 (0.40) | 7.6 (0.73) | 2.9 (0.25) | 3.6 (0.55) | 4.7 (0.55) | 6.4 (1.16) | 8.5 (0.75) | 12.1 (1.86) | 3.5 (0.49) | 5.9 (1.00) |
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교육맥락변인을 다양한 각도에서 탐색하고, 이를 통한 우리나라 교육에
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학생 설문을 분석하였다. 그 결과, 학업성취도와 관련 있는 지표는 심리적응도, 교육환
경 만족도, 학교생활 행복도, 진로성숙도, 수업태도, 학업적 효능감 등이며, 이러한 지표에서 평균점수가 비교적 높게(약 2
점/3점 만점) 나타났다.
- 특히, 수업태도와 학업적 효능감에서 보통학력 이상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.
※ 수업태도 차이 : (중)0.6점, (고)0.6점 / 학업적 효능감 차이 : (중)0.5점, (고)0.4점
< 설문분석 결과 지표별 평균점수(점) >
구분 성취수준 | 중3 | 고2 | ||||||||||
심리 적응도 | 교육환경 만족도 | 학교생활 행복도 | 진로 성숙도 | 수업 태도 | 학업적 효능감 | 심리 적응도 | 교육환경 만족도 | 학교생활 행복도 | 진로 성숙도 | 수업 태도 | 학업적 효능감 | |
보통학력 이상 | 2.2 | 1.9 | 2.1 | 2.1 | 2.1 | 1.9 | 2.0 | 1.8 | 2.0 | 2.1 | 2.1 | 1.8 |
기초학력 미달 | 1.9 | 1.8 | 1.9 | 2.0 | 1.5 | 1.4 | 1.8 | 1.7 | 1.8 | 2.0 | 1.5 | 1.4 |
전체 | 2.2 | 1.9 | 2.1 | 2.1 | 2.0 | 1.8 | 2.0 | 1.8 | 1.9 | 2.1 | 2.0 | 1.8 |
※ 0 : 전혀 그렇지 않다, 1 : 그렇지 않다, 2 : 그렇다, 3 : 매우 그렇다
또한, 자기주도학습 시간이 길어질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.
- 하루 평균 1~2시간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(중 : 29.1%, 고 31.3%), ‘전혀 하지 않다’가 1시간미만이라도 할 때
와 차이가 컸으며 특히, 중학교보다 고등학교에서 더 큰 차이를 나타냈다.
구분 | 중3 | 고2 | ||||||||
하지 않음 | 1시간미만 | 1~2시간 | 2~3시간 | 3시간이상 | 하지 않음 | 1시간미만 | 1~2시간 | 2~3시간 | 3시간이상 | |
(17,4%) | -26.60% | -29.10% | -14.10% | -12.80% | -11.40% | -20.60% | -31.30% | -19.20% | -17.50% | |
보통학력 이상 | 56.2 | 72.2 | 80.6 | 85.1 | 88.5 | 43.7 | 72.7 | 81.3 | 89.5 | 91.9 |
기초학력 미달 | 10.5 | 3.9 | 2.5 | 1.9 | 1.6 | 23.4 | 6.4 | 3.8 | 1.9 | 1.5 |
수학과 정의적 영역 분석
◦그간 PISA와 TIMSS 등의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지속적으로 인지적 영역에서는 높은
성취를 보인 반면, 흥미와 자신감 등의 정의적 영역에서는 낮은 성취를 보인 바, 교육부는 배움을 즐기는 수
학교육을 실현하고자 올해 최초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(학습의욕, 가치, 흥미, 자신감) 설문 문항과 지표를 개
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.
- 분석 결과, 학업성취도와 수학과 정의적 영역은 밀접한 관련이 있어, 정의적 영역 성취가 보통학력 이상에서 높고
기초학력 미달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, 중·고 모두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(중학생 1.6점, 고등학생 1.4점/3점 만점)이
고, 학습의욕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자신감과 흥미보다 높게 나타났다. 또한, 학교급별 분석 결과, 모든 특성에서 중학생이 고
등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, 자신감에서 그 차이가 가장 크게 드러났다.
※ 성취수준별 정의적 특성 평균점수 차이 : (중)0.8점, (고)0.9점
< 성취수준별 수학과 정의적 특성 영역별 평균점수(점) >
구분 성취수준 | 중학교 | 고등학교 | ||||||||
학습의욕 | 가치 | 흥미 | 자신감 | 전체 | 학습의욕 | 가치 | 흥미 | 자신감 | 전체 | |
보통학력 이상 | 2.0 | 1.8 | 1.7 | 1.8 | 1.8 | 1.8 | 1.7 | 1.6 | 1.4 | 1.6 |
기초학력 미달 | 1.1 | 1.1 | 0.9 | 0.8 | 1.0 | 0.8 | 0.9 | 0.7 | 0.6 | 0.7 |
전체 | 1.8 | 1.7 | 1.5 | 1.5 | 1.6 | 1.7 | 1.5 | 1.4 | 1.2 | 1.4 |
※ 수학과 정의적 특성 지표 : 0~1점은 ‘낮음’, 1~2점은 ‘보통’, 2~3점은 ‘높음’ 수준임
< 학교급별 수학과 정의적 특성 영역별 학생 비율(%) >
구분 학교급 | 학습의욕 | 가치 | 흥미 | 자신감 | ||||||||
높음 | 보통 | 낮음 | 높음 | 보통 | 낮음 | 높음 | 보통 | 낮음 | 높음 | 보통 | 낮음 | |
중학교 | 52.5 | 37.7 | 9.8 | 42.8 | 42.3 | 14.9 | 41.5 | 36.6 | 21.9 | 37.4 | 41.0 | 21.6 |
고등학교 | 44.6 | 41.5 | 13.9 | 33.9 | 46.3 | 19.8 | 38.5 | 36.6 | 24.9 | 21.1 | 47.1 | 31.8 |
향후 정책 추진 방향
교육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학생 중심 맞춤형 지원을 통해 기초학력을 향상하여 행복교육의 기반을 마련
할 계획임을 밝혔다.
◦ 초3부터 중3까지 시행한「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*」을 ’17년도에 초1부터 고1까지 추가 개발을 완료,
’18년부터 확대 적용하여, 학습부진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수준 및 원인에 따른 맞춤형 지원으로 모든 학생이 기초학력수준
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.
(* 교과별 학습부진을 정확히 진단하고 학습결손 보충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교수-학습 지원 시스템)
향후,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
며, 특히, 새롭게 추가된 수학과 정의적 특성 측정 결과에 대한 변화 추이 분석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수학과 정
의적 영역 함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.
“역량중심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*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 패러다임도 변화가 필요한
시점”이라고 하면서, 정책연구 및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과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내년 하반기까지
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.”라고 밝혔다.
- 11-30%28목%29조간보도자료%28국가수준+학업성취도+평가+결과+발표%29.hwp (106KB) (1,040)